<100세 시대, 노쇠는 病이다>
근육이 무너지면.. 근육 준 자리 지방이 채워 잘 몰라 혈당 배출 기능 저하, 당뇨병 촉진... 삼킴 기능 장애로 반복적 폐렴도..
노쇠는 신체 기능이 많이 떨어져 일어서기나 걷기 등 일상생활이 힘겨워진 상태다. 노쇠의 바로미터는 근육 감소로 근육이 지나치게 줄면 자립생활이 힘겨워지고 다른 질병에도 매우 취약해 진다.
◈美 .일본은 근감소증을 질병으로 분류
근감소증(Sarcopenia,사코페니아)은 노화 등 다양한 이유로 몸의 근육(근육량, 근력)이 비정상적으로 줄거나 약해져 신체활동이 원활치 않은 상태다. 근감소증이 심해지면 장애에 이르고, 사망위험이 높인다. 미국과 일본은 근감소증에 질병 코드를 부여해 관리 하고 있다. 60세 이상에서 근감소증인 사람은 40%에 이른다는 미국 연구도 있다. 40세 이후에는 근육량이 급격히 줄어든다. 노화로 인해 소멸되는 양(量) 만큼의 근육 세포가 재빨리 생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70대의 근육량은 30~40대에 비해 30%나 더 적다. 더구나 근육이 떠난 자리를 지방이 채워 근육 소실 상태를 모르기 쉽다. 근육을 구성하는 근섬유 수와 굵기가 줄어들어 근력 감소가 일어난다. 지구력을 담당하는 지지근보다, 순발력을 책임지는 운동근에서 근육 감소가 많이 진행되기 때문에 고령자는 돌발 상황에 빠르게 대처하기가 어려워져서 낙상 위험이 높아진다고 한다.
◈신체 대사에 영향, 각종 질병 일으켜
근감소증은 근육 자체를 넘어 뼈와 혈관, 신경, 간, 심장,췌장, 등 신체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뼈는 근육에 의해 스트레스(자극)를 받아 밀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근육이 힘을 잃으면 뼈도 약해진다. 정도가 심하면 골다공증까지 간다.
근육감소는 새로운 혈관과 신경이 생겨나는 것을 방해해 인지기능 저하까지 낳는다.
또, 간에 지방을 늘리고 심장 비대를 촉진하며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방해한다. 근감소증은 당뇨병 등 각종 질병과도 연관돼 있다. "근육은 혈당을 낮추는 가장 큰 기관으로서 에너지인 혈당을 흡수했다가 내놓는 '저수지' 역할을 한다"며" 근감소증은 근육의혈당 흡수와 배출 기능을 나쁘게 해 당뇨병 발생을 촉진한다"고 말했다.
기립성 저혈압으로 인한 낙상 가능성도 증가한다. 다리 근육이 약해지면 누워있다가 일어날때 정맥의 혈액이 제대로 펌프질 되지 않아 심장의 혈액량이 줄어 어지럼증이 발생할수 있다. 근육 감소는 구강의 삼킴 근욱을 약하게해서 삼킴(연하) 장애로 인한 폐렴을 반복적으로 일으킨다. 또한, 고혈압과 심혈관질환 발병을 3~5배 높이고, 암, 폐혈증, 비만,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근육랭 감소.운동량 저하, 악순환 반복
근육을 유지하려면 충분한 영양과 지속적인 운동, 적절한 대사 환경이 이뤄져야 하는데 나이 들면 모드 정반대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근육량이 감소하면 신체 기능을 떨어뜨려 운동량도 줄어든다. 운동량 감소는 근육이 혈중 포도당을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게 해서 근육랑과 근력을 더 낮추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근감소증은 약식 진단도 가능한데 국내에서는 한국형 근감소증 진단 기준이 많이 쓰인다.
◈한의학적인 근감소증의 개선과 치료
소실된 근육은 운동과 사회 활동 증가, 적절한 음식물 섭취 등을 통해 상당 수준까지 회복가능하다. 따라서 한가지 건강기능식품만 섭취해서 근감소증을 좋게 하는 마법 같은 식품은 없다. 전문가의 조언과 적절한 영양섭취와 근력 운동, 유산소 운동, 균형 운동을 병행할때 근감소증이 정상으로 회복됐다는 연구 결과과 있다.
따라서 한의학적으론 노년의 신체적인 변화와 정서적 변화를 동시에 치유하며 개선하는 방향으로 치료에 임하고 있으며, 주로 신체적인 원인의 근감소증을 실정(失精)이라 부르며 정서적 원인으로 시작되어 근감소증에 이르게 된 것을 탈영(脫營)이라
부른다.
몸과 마음의 양면에서 심층적인 근감소증 치료는 한의사의 전문적인 도움을 받아 치료하면 중년이후 건강에 행복과 자신감이라는 효과 적인 결과를 얻을수 있다.
※나는 근감소증일까?
(1) 무게 4.5kg(9개 들이 배 한박스)를 들어서 나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2) 방안한쪽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걷는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3) 의자(휠체어)에서 일어나 침대 (잠자리)로, 혹은 침대(잠자리)에서 일어나 의자(휠체어 )로 옮기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4)10개의 계단을 쉬지 않고 오르는것이 얼마나 어려운가요?
(5)지난 1년 동안 몇번이나 넘어지셨나요?
전혀없다(0) , 1~3회(1) , 4회 이상(2)
※채점방법 : 1~4 번 항목에서 자신이 '전혀 어렵지 않다'에 해당하면 '0점' '좀 어렵다'에 해당하면 '1점' '매우 어렵거나 할 수
없다'에 해당하면 '2점'을 매겨 5번항목 점수와 모두 합함
※합계 4점 이상이면 근감소증 가능성 매우 높음.